 |
|
 |
- 산소농도는 동일한 환기상태에서 산소사용부하(거주인원,연소소모량 등)에 의하여 직접 영향을 받는다.
- 일반 공조건물에서 근무 시 산소농도가 20.5%-20.6%인 경우 아주 불쾌하지 않은 상태로 견딜 수 있으나, 장시간 거주 시는 SICK빌딩증후군의 증세가 나타난다.
- 난방 하는 겨울에는 실내의 온도상승으로 상대적인 공기 밀도 저하에 의하여 산소 부족하여지는 상태를 더욱 빨리 느끼게 되고, (온도 13℃ 상승 시 5%산소저감 효과, 20.7% → 19.7%)
|
|
 |
|
구 분 |
사우나 / 연소보일러 가동 |
밀폐,지하시설/
취침안방/
고밀도사무공간 |
공조빌딩 |
외기수준 |
바닷가 |
산소농도 |
20%이하 |
20.0~20.5% |
20.5~20.6% |
20.7% |
20.8~20.9% |
느 낌 |
매우 답답 |
답답함/노약자 악영향 |
정상 |
상 쾌 |
비 고 |
질식위험 |
만성적인 환기부족 |
적정환기 |
쾌적함 |
이산화탄소 농도 |
5000ppm |
1000ppm~5000ppm |
1000ppm이하 |
400ppm~600ppm |
|
|
 |
- 인체가 호흡하는 환경속에서 산소농도 0.1%의 차이는 크다.(일반외기 20.7% <-->숲속,바닷가 20.8%-20.9%)
- 산소농도는 동일한 환기상태에서 산소사용부하(거주인원,연소소모량 등)에 의하여 직접 영향을 받는다.
- 실내가 답답할 때 먼지가 많아서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산소 부족이 원인이다.
- 일반 공조건물에서 근무시 산소농도가 20.5%-20.6%인 경우 아주 불쾌하지 않은 상태로 견딜 수 있으나, 장시간 거주시는 SICK빌딩증후군의 증세가 나타난다.
- 난방하는 겨울에는 실내의 온도상승으로 상대적인 공기 밀도 저하에 의하여 산소 부족하여지는 상태를 더욱 빨리 느끼게 되고,
- (온도 13℃ 상승시 5%산소저감 효과, 20.9% → 19.9%)
- 냉방철인 여름에는 공기 밀도의 상승영향으로 산소부족을 빨리 느끼지 않으나, 장시간 거주시 산소부족에 의한 두통등을 호소하게 된다.
|
|